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C언어 강좌(공부) #4~5장

카테고리 없음

by 바래다주기 2024. 5. 7. 02:16

본문

4장 상수와 변수

항상 같은 수, 상수
상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한번 값이 결정되면 프로그램이 끝날 때 까지 다른 값으로
바뀌지 않는 정보를 말한다

  1. 숫자형 상수 = 1. 정수형 상수 2. 실수형 상수
  2. 문자형 상수
  3. 문자열형 상수 끝에 0이 들어가서 1바이트 더 들어간 바이트로 나온다

데이터 저장 공간,변수
변수(변하는 값) :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값이 바뀌는 정보
사용자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저장 공간

 

변수 이름 :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(메모리)을 가리키는 별명이다

예약어는 변수이름으로 사용 불가

 

변수 선언하기
변수를 선언하는 것 저장공가을 할당하는 것이다

 

변수 초기화하기
변수를 사용하기 전 초깃값을 저장해서 깨끗하게 만드는 것을 초기화라고 한다

 

2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
2진수 : 0,1
16진수 : 0,1,2,3,4,5,6,7,8,9,A,B,C,D,E,F,
16진수 한 자릿수는 4비트를 의미한다

5장 함수

C언어와 함수

함수(Function)

정해진 단위 작업을 수행하도록 명령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은 것

  1. 작업 별 그룹으로 나누어 소스 코드를 작성하면 관리하기 편함
  2. 소스 코드의 내용을 쉽게 이해 가능

ex) '물 마시기' 작업을 함수 형태로 표현
물 마시기(정수기)
{
컵을 가져온다
컵에 정수기 물을 따른다
컵에 담긴 물을 마신다
}

함수 집합체

  1. C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함수의 집합체
  2. C언어의 소스파일에는 꼭 하나 이상의 함수가 존재
  3. 함수들끼리 서로 호출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프로그램이 진행

함수 정의하고 호출하기

함수이름 : 하는 일을 짐작하기 쉽게 짓기
매개변수 : 작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변수 단위로 명시
작업내용 : 작업할 내용을 중괄호{}안에 명령문으로 나열
반환값 : 작업한 결과 값을 반환해야 할 떄 사용

함수 호출

함수가 다른 함수를 사용한다는것
호출자 :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
피호출자 : 호출도는 함수